전체 글131 [Chapter 2] System Structure & Program Execution 컴퓨터 시스템 구조 "memory" = CPU의 작업 공간"local buffer" = device controller의 작업 공간 CPU는 memory로부터 기계어를 읽어와 하나씩 처리하는데,(memory에 "program counter"라는 register를 두어 현재 처리해야 할 것 가리킴 !!!)OS의 기계어를 처리할 때는 믿고 맡길 수 있지만, 사용자의 프로세스를 처리할 때는 그럴 수 없다.(CPU 독점 코드, 무한루프 코드 -> CPU 자원 분배가 제대로 안 이루어짐)OS의 기계어는 CPU를 사용 중일 때만 의미 있기 때문에 사용자 프로그램에게 CPU가 넘어가면 제어 못 함 => "mode bit" -> 사용자 모드 / 커널 모드 구분 mode bit(중요) : 사용자 프로그램의 잘못된 수행으.. 2025. 4. 18. Chapter7. Data Link Control Protocols(Error Control) 1. Flow ControlStop-and-Wait Flow ControlSliding-Window Flow Control 2. Error ControlStop-and-Wait ARQSliding-Window ARQGo-Back-N ARQSelective-Reject ARQ3. HDLC(High-Level Data Link Control): Sliding-Window 방식으로 Flow&Error Control하는 표준 프로토콜: Ethernet, Wifi의 뿌리Error Control 두 개의 frame을 사용한다는 것은 계속 말해왔다.- Data frame: L2 payload 안에 IP packet 정보 가짐- ACK frame: IP packet 없음 - lost frames: RX로 전달 실패* .. 2025. 4. 17. JOIN SELECT 문을 통해 조회할 수 있게 되었다.이제는 두 개 이상의 테이블들에 저장된 정보를 연관시켜 조회할 수 있도록 해주는 조인 연산에 대해 배울 것이다. 1. 조인 연산 -> 두 개 이상 테이블에 저장된 정보를 연관시켜 조회2. Inner Join, Natural Join, Outer Join, Cross Join3. WHERE 절, ON 절, USING 절에서 사용되는 Join4. 셀프 조인5. 다양한 논리적 관계(테이블 구성 달라도 조인 가능) -> 테이블 연관시켜 조회JOIN(조인) 무결성 때문에 데이터 중복을 막기 위해 테이블을 여러 개로 쪼개 놓는다.-> 연관 있는 두 릴레이션(테이블)을 연결한 새로운 하나의 릴레이션 형태로 데이터 조회 가능 조인 조건 관계가 있어야 엮을 수 있기 때문에 .. 2025. 4. 17. DML: SQL 연산자와 내장함수(2) - select- from- where- group by- having- order by group by 전체 집계: 5글자보다 긴 이름을 가진 학과에 소속된 교수들의 평균 급여 출력select avg(salary) as avg_sal // salary열의 전체 데이터 대상 평균from instructorwhere dept_name like '______%'; //'_' 6개 => 6글자 이상이어야! 그룹별 집계: 5글자보다 긴 이름을 가진 학과들에 대하여 각 학과별 교수들의 평균 급여 출력select dept_name, avg(salary) as avg_salfrom instructorwhere length(dept_name) > 5 // 5글자보다 글자 수 많다는 뜻group by dept_name.. 2025. 4. 15. 이전 1 2 3 4 5 6 7 8 ··· 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