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강의/운영체제5 [Chapter 4] Process Management process를 생성하는 부분에 대해 중점적으로 볼 것임 process 생성(fork -> exec) : process 생성한다 = Parent process(원래 존재하는 process)가 children process(자식 프로세스)를 생성하는 것부모는 자식이 종료될 때까지 기다릴 수도 있고, 둘이 경쟁 관계일 수도 있다.But, parent process와 children process는 관계만 이럴 뿐 독립적으로 작동한다. 프로세스는 자원을 부모 프로세스로부터 받거나 운영체제로부터 받는다.- process는 thread와 달리 주소 공간 공유하지 않기 때문에 복사해줘야 함.- PCB도 별도로 만들어주고 부모꺼 복사.(code+data+stack 모두 복사)- 자식은 복사본에 자신의 프로그램 올림 .. 2025. 4. 19. [Chapter 3] Process interrupt 별로 어떤 루틴을 처리해야 하는지 적어놓음 컴퓨터시스템 구조의 흐름 알고 있을 것 A, B, C프로그램이 있다고 할 때 세 프로그램이 돌아가면서 써야 공평함. round loading 방식 2번 interrupt가 들어오면 - 정해진 시간이 흐른 뒤 운영체제에게 제어권이 넘어가도록 인터럽트를 발생시킴 => 타이머에서 신호가 왔다고 판단- 타이머 값이 0이 되면 타이머 인터럽트 발생- CPU를 특정 프로그램이 독점하는 것으로부터 보호(round robing) -> 스케줄링=> time sharing을 구현하기 위해 널리 이용=> 현재 시간을 계산하기 위해서도 사용됨 Memory부분이 ISR CPU 로 들어가기 전 interrupt line에는 스케줄러가 존재.스케줄러에 따라 device.. 2025. 4. 19. [Chapter 2] System Structure & Program Execution 컴퓨터 시스템 구조 "memory" = CPU의 작업 공간"local buffer" = device controller의 작업 공간 CPU는 memory로부터 기계어를 읽어와 하나씩 처리하는데,(memory에 "program counter"라는 register를 두어 현재 처리해야 할 것 가리킴 !!!)OS의 기계어를 처리할 때는 믿고 맡길 수 있지만, 사용자의 프로세스를 처리할 때는 그럴 수 없다.(CPU 독점 코드, 무한루프 코드 -> CPU 자원 분배가 제대로 안 이루어짐)OS의 기계어는 CPU를 사용 중일 때만 의미 있기 때문에 사용자 프로그램에게 CPU가 넘어가면 제어 못 함 => "mode bit" -> 사용자 모드 / 커널 모드 구분 mode bit(중요) : 사용자 프로그램의 잘못된 수행으.. 2025. 4. 18. [Chapter 1] Introduction to Operating Systems 운영체제란? 컴퓨터 하드웨어 바로 위에 설치 -> 사용자 및 다른 모든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연결하는 소프트웨어 계층: 컴퓨터가 꺼질 때까지 실행* 컴퓨터 booting -> 운영체제가 메모리에 올라가 실행 시작* 컴퓨터 종료 -> 운영체제 실행 종료- 커널: 운영체제의 핵심 부분- I/O controller: 각 I/O device들을 전담하는 controllerex. CPU가 하드디스크로부터 파일을 불러오고 싶음 -> I/O controller가 가져다 줌 -> 하드디스크가 자신의 메모리에 내용 저장운영체제의 목적 1. 컴퓨터 시스템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환경 제공(하드웨어 관리 + 편리한 인터페이스 제공)- 운영체제는 동시 사용자/프로그램들이 각각 독자적 컴퓨터에서 수행되는 것 같은 환상 제.. 2025. 4. 10.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