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85 1-2. What is Protocol? Protocol사람과 사람 사이의 의사소통에 질문과 응답의 전형적인 양상이 있는 것처럼장치와 장치 사이에서도 소통의 규약이 존재하는데이를 프로토콜이라고 한다.프로토콜을 따른 하나의 소통 예를 들어보자.우리가 웹브라우저에서 url을 입력해 웹페이지에 접속하려고 하는 상황이다. 우선 위와 같이 우리의 노트북은 서버에게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그러면 서버는 우리에게 요청 수락 메시지로 응답할 수 있다.다음 우리가 서버로부터 얻고 싶은 웹페이지 이름을 GET메시지에 넣어 다시 전송하면서버는 우리가 원하는 웹페이지 내용을 준다.이렇게 프로토콜은 통신 메시지의 형식과 순서, 행동을 정의한다. 2024. 10. 13. 1-3/4. Network Structure 컴퓨터 네트워크는 중심부(core)와 가장자리(edge)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Network edgeNetwork edge는 말그대로 네트워크의 종단에 있는 시스템을 말하며 host(client/server)라고 보면 되겠다. 즉, 데스크톱 컴퓨터(PC/리눅스컴퓨터/매킨토시 등), 서버(웹/전자메일), 모바일 컴퓨터(스마트폰/랩탑/패드)를 모두 포함한다고 보면 되겠다.Network coreNetwork core은 switching의 역할을 한다. switching이란 종단시스템들끼리 서로 메시지를 교환하는 것을 말한다. 한 switch로부터 다른 switch로 연결되므로 이를 switching이라고 하나 보다. 전화 등 통신을 할 때에는 circuit switching이, 인터넷을 사용할 때는 p.. 2024. 10. 13. 1-1. What is the Internet?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컴퓨터네트워크는 인터넷이므로이 과목은 인터넷을 중심으로 공부가 진행될 것인가 보다.우선 인터넷에 대해 알아볼 건데인터넷은 host, communication links, packet switch 세 가지로 구성된다.(구성요소의 관점)host는 end system이라고도 불리는데 말그대로 네트워크의 종단에 위치한 사용자의 디바이스같은 것을 말한다.packet switch란 최종 목적지로 패킷을 전달하는 장비를 말한다.패킷(packet)이란 정보의 단위조각이라고 보면 되는데쉽게 말해 한 호스트에서 다른 호스트로 데이터를 보낼 때 양이 많은 데이터를 나눈 것이다.우리가 인터넷을 사용할 때 웹페이지를 요청하고 받는 작업이 이루어지는데이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패킷 송수.. 2024. 10. 13. Performance: Throughput Throughput이란 비트가 sender에서 receiver로 보내지는 속도다.출발지부터 목적지까지 비트를 얼마나 날랐냐를 가리킨다고 보면 된다. - instantaneous throughput(순간적인 처리율) : 어느 한 순간에서 수신자가 파일을 수신하는 비율 - average throughput(평균 처리율): 장기적 속도 우리는 이 average throughput에 주목할 건데 다음과 같은 예를 통해 average throughput이 계산되는 과정을 살펴보자. Rs는 서버와 라우터 간 링크 속도를, Rc는 라우터와 클라이언트 간의 링크 속도를 나타낸다. 그리고 우리는 통로가 넓을수록 빠르게 통과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Rs와 Rc 중 더 작은 것,즉 파이프가 더 얇은 쪽에 의해 thr.. 2024. 10. 9. 이전 1 ··· 16 17 18 19 20 21 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