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컴퓨터네트워크는 인터넷이므로
이 과목은 인터넷을 중심으로 공부가 진행될 것인가 보다.
<인터넷>
우선 인터넷에 대해 알아볼 건데
인터넷은 host, communication links, packet switch 세 가지로 구성된다.(구성요소의 관점)
host는 end system이라고도 불리는데
말그대로 네트워크의 종단에 위치한 사용자의 디바이스같은 것을 말한다.
packet switch란 최종 목적지로 패킷을 전달하는 장비를 말한다.
패킷(packet)이란 정보의 단위조각이라고 보면 되는데
쉽게 말해 한 호스트에서 다른 호스트로 데이터를 보낼 때 양이 많은 데이터를 나눈 것이다.
우리가 인터넷을 사용할 때 웹페이지를 요청하고 받는 작업이 이루어지는데
이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패킷 송수신이다.
packet switch에는 router과 switch가 있는데
router은 주로 네트워크의 코어에서, switch는 접속 네트워크에서 사용된다.
communication link란 host와 packet switch를 연결해주는 장비들을 말한다.
와이파이와 같은 유선 장비, 셀룰러 데이터와 같은 무선 장비가 존재한다.
각 링크들은 얼마나 빠르게 전송하냐, 즉 전송률을 이용해 데이터를 전송한다.
packet switch와 communication link의 네트워크가 host 간 연결을 지원한다.
Host, 즉 종단시스템은 ISP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한다.
ISP란 Internet Service Provider의 약자로
쉽게 말해 SKT, KT, U+와 같은 통신사라고 생각하면 된다.
이러한 회사들은 인터넷 접속에 필요한 장비들(네트워크)을 갖추어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한다.
ISP는 CP(content provider)에게 인터넷 접속을 제공하여
CP로 하여금 소비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SKT(ISP)의 네트워크를 사용해 넷플릭스(CP)가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이다.
여태까지 인터넷의 구성요소들을 간단히 살펴보았는데
이러한 인터넷 구성요소들에 적용되는 규약을 프로토콜이라고 한다.
인터넷의 주요 프로토콜에는
TCP(transport 계층의 프로토콜), IP(네트워크 계층의 프로토콜)가 있다.
인터넷 프로토콜의 종류
최근에는 다양한 종단시스템들의 상호호환이 중요시되기 때문에
이들 간 표준이 필요한데 이것을 RFC라고 하며 IETF라는 기관에서 관리한다.
다음으로 인터넷의 특징을 중심으로 살펴보자.
인터넷은 애플리케이션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프라라고 설명된다.(서비스 관점)
종단시스템들에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데
패킷교환기는 단지 종단시스템들 간의 연결만 지원하기 때문에
애플리케이션이 수행되기 위한 서비스를 종단시스템에 두어야 한다.
인터넷은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다른 애플리케이션까지 데이터 전송을 지원한다.
'네트워크 > 컴퓨터 네트워크 수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 What is Protocol? (1) | 2024.10.13 |
---|---|
1-3/4. Network Structure (2) | 2024.10.13 |
Performance: Throughput (1) | 2024.10.09 |
Performance: Loss (1) | 2024.10.09 |
Performance: Delay (1) | 2024.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