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선 케이블
전기가 통한다 = 정보가 새어 나갔다.
lower frequency로 고속 구현하기는 일반적이지 않음 => 추가적 기술(crosstalk cancellation)이 필요
성능: Twisted Pair < Coaxial Cable < Optical Cable
Twisted Pair
: 꼬아진 두 개의 구리선 전압 차이로 신호를 생성
* interference가 들어왔을 때,
twisted 되어있지 않으면 서로 받는 주파수가 다를 수 있음 => twist 시킴으로써 그 차이를 줄임!!
(+) 싸고 사용 쉬움
(-) 성능 안 좋고 좁은 범위만 커버 가능
<특성>
- 사용되는 distance, bandwidth, data rate 범위가 좁음
- interference 와 noise 영향 많이 받음
- applications
* analog&digital 기기 모두에서 가장 흔한 medium
* subscriber loop(댁 내 망): CO(회사의 첫 기기)와 CPE(댁 내 모뎀) 사이 연결선
* LAN에서 주로 사용. 100m선일 때 100Mbps(거리에 따라 noise, attenuation도 증가하므로 거리가 중요)
-> 거리를 더 짧게 구현한다면 10Gbps까지 가능
모든 조건이 같을 때 케이블 길이가 짧을수록 집단이 느끼는 총 data rate이 빨라짐(attenuation이 줄어들기 때문)
같은 주파수롤 써도 체감 data rate 빨라짐
<종류>- 포장 여부에 따라 attenuation이 달라짐
- U/UTP(Unshielded Twisted Pair)
: 감싸지 않음
- F/UTP
: 전체 묶어서 호일 하나로 감쌈
- SF/FTP
: 개별적으로 종이호일로 싸서 분리 + 전체 묶어서 호일 하나로 감쌈
- S/FTP(Shielded Twisted Pair)
: 개별적으로 braid로 싸서 분리 + 전체 묶어서 braid 하나로 감쌈
=> 결과만 이해할 것: "더 많이 shield될수록 -> attenuation이 적음 -> 더 빠른 주파수 rate 체감 가능, but 비쌈"
* crosstalk loss: 어떤 pair의 누화가 인접한 다른 pair에게 간섭을 주는 것
즉,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가진다.(중요)
- 송신한 신호 대비 수신한 신호 세기에 반비례(o)
- 똑같이 보냈는데 더 적게 받았으면 attenuation이 더 큼(o)
- Pt의 frequency가 클수록 Pr(수신 신호 세기)은 작고 Pc(crosstalk)는 큼
=> Pc < Pr 이 어느정도 유지된 상태에서 frequency 높여야 함
<Frequency에 따른 Attenuation & NEXT>
Coaxial Cable
- Twisted pair보다 더 먼 거리, 더 많은 station 지원, interference와 crosstalk 영향 덜 받음
- attenuation & noise 의 제한 받음
- 지원하는 app도 많음
* Television distribution
* Long distance telephone transmission(CATV) => 동시에 10000개 이상의 voice call 지원 가능
- 해저케이블이 coaxial cable로 구성됨 => 모든 국제 traffic은 해저케이블을 타고 나감
- Digital signal은 "closer spacing required for higher data rates"
=> attenuation이 더 일어났을 때 재생을 빨리 시켜버린다.
Optical Fiber
: 전압이 흐르면 빛을 방출하는 반도체 기술
- Light Emitting Diode(LED): 더 싸고 오래 감
- Injection Laser Diode(ILD): 성능 더 좋음(data rate 더 큼)
Twisted Pair | Coaxial Cable | Optical Fiber | |
LAN (Residential network, Enterprize network Data center) |
o (Twisted Pair 사용해 residential network 구현 가능) |
o | o |
WAN | x | o | o |
submarine cable | x | o | o |
Analog signal을 쓸 때는 amplifier, digital signal을 쓸 때는 repeater 사용 |
=> Twisted pair은 주로 좁은 지역에서, coaxial, optical은 넓은 지역에서도 사용
- diameter: 약 0.0125cm
- 다양한 glasses & plastics로 구성됨
<장점>
- 용량 큼 -> 적은 repeater & 높은 성능
: data rate "수백Gbps/수십~수백 km" 커버 가능 -> 수천 km 가야 한다 해도 repeater 간격 길게 해 비용 감소 가능 & 성능 good
- 사이즈 작음 & 가벼움
: coaxial과 twisted pair보다 얇음
- Attenuation 적음
- 전기적 고립
<활용>
: 네트워크 코어에서 optical fiber이 가장 많이 쓰임
- long-haul trunks(장거리 통신)
: 1500km 거리를 20000~60000개의 voice channel이 공유 가능
- metropolitan trunks(대도시): 좁은 공간에 인구밀도 높음
: 12km라는 짧은 거리를 100000개의 voice channel이 공유
- rural exchange trunks(소도시): 넓은 공간에 인구밀도 낮음
: 40~160km라는 거리를 5000개의 voice channel이 공유
- Subscriber loops
- LAN & WAN
<종류>
성능: single mode fiber < multimode fiber
single mode fiber | multimode fiber | |
core 크기 | 작음(9 micrometer) | 큼(62.5 micrometer) |
사용 기술 | lasers | LED |
loss | 적음 | 큼 |
bandwidth | 큼 | 작음 |
커버 가능 distance | 긴 거리(60km~) | 짧은 거리(~1km) |
installation cost | 비교적 높음 | 비교적 낮음 |
connector 비용 | 비교적 높음 | 비교적 낮음 |
주로 사용되는 곳 | WAN, MAN, Access, Campus | LAN, CO |
![]() |
![]() |
무선 케이블
<Wireless Transmission Frequencies>
: 무선 통신 기기의 주파수 대역
-> 모두 전파 방식이 고주파로 LoS(Line of Sight), 즉 눈에 보이는 곳에서 통신
세 종류 중 대표적인 broadcast radio, microwave, antenna에 대해 살펴보자.
Antenna
: 전자기적 에너지를 모으거나 방사하기 위해 사용(전기적 에너지 -> 전자기적 에너지 바꿔서 주변으로 방사)
: 송수신 시 같은 antenna 사용
1. Isotropic antenna
: 모든 방향으로 똑같이 방사(이론적인 모델)
2. Omnidirectional antenna
: 수직/수평 중 어느 한쪽 plane(평면)으로 360도 방사
=> 수신자가 어디에 있는지 모를 때, 혹은 송신자가 어디에 있는지 모를 때 사용
3. Directional antenna
: 한 평면이지만 360도 가 아니라 한 쪽(180도?)
한 방향으로 큰 힘 방사 -> 성능 향상 & interference 감소
: Satellite TV, Sector cells in cellular NWs 등에 사용
Microwave
: directional
"higher frequency -> shorter wavelength -> shorter antenna -> smaller device"이기 때문에
주파수가 클수록 작은 기기를 만들 수 있음
- 보통은 반지름이 3m인 접시 모양
- LoS(Line of Sight) transmission을 위해 antenna 고정돼 있고, 좁은 beam에 집중
- 높은 곳에 위치
- 장거리 전송을 위해 microwave relay tower 존재
1. Terrestrial Microwave Applications
- coaxial cable, optical fiber 대신 장거리 통신할 때 사용
- voice와 TV 전송 모두에 사용
- repeater 적게 요구하지만 LoS(Light-of-Sight) transmission 요구
- higher data rate(1-40GHz), higher frequencies
- 야외에서 사용하므로 attenuation 불가피
- 같은 회사 다른 건물을 연결할 때 사용 하기도 함
2. Satellite Microwave
- microwave relay 진행 -> 받은 신호의 주파수 대역과 다른 주파수 대역으로 보냄
- 두 개 이상의 지상 station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
- point-to-point, multipoint 두 형식 다 가능
"GPS"
미국의 것을 전세계가 빌려쓰는 것이므로, 미국이 빌려주지 않으면 쓸 수 없게 됨..
-> 우리나라에서는 KPS(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 개발 필요성 강조되는 중
현재 우리나라의 위성은 8개 !
-> KPS 개발된다면, GPS 서비스 제한 상황에서도 독자적인 고정밀의 PNT(Positioning, Navigation, Timing) 서비스를 계속 사용 가능
- 최적의 frequency: 1~10GHz
* 1GHz 이하 => 자연의 소리
* 10GHz 이상 => atmospheric absorption & precipitation
- frequency 범위
* uplink(지구->위성): 5.925~6.425GHz
* downlink(위성->지구): 3.7~4.2GHz
!!! 단 해당 bandwidth를 사용하라는 뜻이지, bandwidth가 딱 이만큼은 아니라는 것을 알아둬야 한다 !!!
-> 이거보다 적은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고 많은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지만 후자는 추가 기술 사용해야 한당
다운로드 횟수가 더 많기 때문에 보통 downlink의 bandwidth가 더 높다.
-> uplink speed < downlink speed
Broadcast radio
: omnidirectional
- Radio: 3~300GHz 주파수를 커버하는 모든 기기를 radio라고 함
- Broadcast radio: 30MHz~1GHz
* FM radio, UHF, VHF television band
* Data networking applications
- LoS(Line of Sight)로만 통신 가능
* LoS: TX와 RX가 서로를 볼 수 있는 것
- (모든 무선통신 공통) multipath interference이 신호 품질을 떨어뜨림
wireless propagation의 종류에는 다음과 같이 세 개가 있다.
Ground wave propagation (~2MHz) |
Sky wave propagation (2~30MHz) |
Line-of-Sight(LoS) propagation (30MHz~) |
- 지구의 곡률을 따라감 - AM radio * AM: lower frequency -> lower energy -> 곳곳을 지나갈 수 있음 ![]() |
- amateur radio & international broadcasts (BBC/Voice of America) * FM: higher frequency -> higher energy -> 빨리 끊겨버림 ![]() |
![]() |
여태까지 말한 세 개의 wireless propagation(Antenna, Microwave, Broadcast radio)는 모두 LoS를 따른다.
- Radio LoS: Microwave, Broadcast radio => 조금 굽음
- Optical LoS: Antenna => 거의 직선으로 떨어짐
AM: lower frequency -> lower energy -> 곳곳을 지나갈 수 있음
FM: higher frequency -> higher energy -> 빨리 끊겨버림
<LoS의 한계>
- Free space loss
: 멀리 갈수록 attenuation
- Atmospheric Absorption
: 진공 상태가 아니므로 물/공기에 흡수
- Multipath
: 의도하지 않은 것도 반사되어서 도착 -> 원래 신호를 방해
- Refraction
: 밀도가 높으면 굽어짐
<4장 정리>
- 어느 frequency 대역에서 만든 signal인지에 따라서 구현할 수 있는 대역폭이 다르다.
higher frequency -> 작은 기기
- 좋은 케이블일수록 attenuation이 작음
frequency 똑같을 때 거리가 멀수록 attenuation 더 일어남.
같은 종류의 케이블을 썼을 때 더 고주파인 쪽이 attenuation 더 일어남. -> 더 많은 repeater/amplifier 사용해야
- 어떤 케이블을 쓰든 analog signal과 digital signal을 보낼 수 있음
TX가 무슨 carrier signal을 만들었는지에 따라 다름
'학교 강의 > 정보통신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pter 6. Error detection (0) | 2025.04.13 |
---|---|
Chapter 6.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0) | 2025.04.06 |
Chapter4. Transmission Media(L1) (0) | 2025.03.28 |
Chapter2. Protocol Architecture, TCP/IP, and Internet-Based Applications (0) | 2025.03.23 |
Chapter1 (2) (0) | 2025.03.17 |